중다회귀분석의 결과표 및 보고서 작성 요령
이 회귀식은 지역에 따른 직장만족도(SATIS)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즉, 지방(D)의직장만족도는 서울에 비해 0.6정도 높고 해외는 서울에 비해 1.05 정도 높다.
여기서지방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F-1.81, p>.05) 서울에 비해 더 만족한다고 할 수 없으며, 해외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기 때문에(F8, p. (5) 서울보다 유의미하게 직장에 대해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지역변인이 직장만족도(SATIS)를 설명하는 변량은 10.70R 1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Fe), 7,00075, p 01). 따라서 지역(AREA)은직장만족도를 예측하는 좋은 변인이다.
이렇게 범주형 변인을 선형회귀분석에 사용하고자 할 때는 가변인을 이용하지만, 변인간의 선형적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는 로지스틱 회귀분석(legistie regressicon tamailysis)이나 집단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판별분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밖에 회귀분석의 유형으로는곡선적 관계성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curve estimaticon meethxxl), 비선형적 관계성을 검증하는 방법(nonlineer regression), 변인간의 로그 관계(loglineear regression)를 밝힐 수 있는다양한 회귀분석 방법들이 있다.
2.중다회귀분석의 결과표 및 보고서 작성요령
사실, 중다회귀분석을 하면 산출되는 결과물이 많아 결과표에 포함시킬 내용을 결정하는 데 애를 먹는다. 연구 분야에 따라 결과표를 작성하는 원칙이 약간씩 다르나, 가장중요한 것은 분석과 관련된 핵심적인 사항들을 포함하면 결과를 읽는
사람들의 편의를도모해야 하는 것이다. 아무리 훌륭하게 분석을 하였더라도 중요한 결과가 빠져 있거나보는 사람이 결과를 해독할 수 없다면 분석의 가치가 저하되기 마련이다.
중다회귀분석의 결과표를 작성할 때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은 변인의 기초통계치로 평균과 표준편차, 기초상관행렬, 절편(intercept), 비표준화 회귀계수(B), 표준화된 회귀계수(beta: 3), 준여과상관(R' 변화량: 개별변인 상대적 기여도), 전체 설명변량(R), 교정된R (Adjusted R), 중다 R(Multiple R) 등이다. 이렇게 많은 통계치를 한 표에 작성하는 것은 쉽지 않으나, 가능하다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시하는 방법으로 표를 작성하면 중요한 사항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할 수 있어 효과적일 것이다.
3.중다회귀분석의 실전해설
직장만족도에 대한 표준 중다회귀분석의 결과
직장만족변인직무동기 작업환경임금 스트레스Bº 3R 변화랑(DV)(s)직무동기 .496.72573872.1312작업환경 .192 .158.2205 .1222.014임 금 334 296 .048.0013.22660457스트레스 233 124 -2011 ..0143289.1873 .0314절편 - -.7875평5.34 3.21 3.31 1530.95 3.08R-337표준편차 2.09 1.11 1.16 351.61 1.19교정된 R-314R580
* p<.05. * p<.01a 고유변량 27: 공유변량 = 110b B는 비표준화 회귀계수: 3는 표준화 회귀계수
표준 중다회귀분석의 결과에서 R 변화량(R Saurare Change)은 개별 변인의 고유변량으로 표시되며, 이들 합 22.7%는 전체 설명변량(R) 33.7%와 약 11%의 차이를 보인다.이 차이는 표준 중다회귀분석에서 독립변인의 설명변량으로 귀인되지 않는 공유변량을의미한다. 표준 중다회귀분석에서는 회귀모형을 검증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고 개별변인의 고유변량(R' 변화량)의 합이 전체 설명변량(R)이 되지 않기 때문에 R 변화량을제시해주지 않아도 무방하다. 단, 변인들의 고유변량과 공유변량을 구분하려는 목적을가지고 있다면 R 변화량과 전체 R을 제시하고 그 차이값을 공유변량으로 기록해 주면된다.
준여과상관(sr)인 결과의 Part Cor값이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각 변인의 RF 변화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SPSS 절차에서 'ISTATISTICS = ALL' 하여 재분석하면 된다.
<직장만족도에 대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의 결과 (결과 3.4)
직장만족단계변인직무동기 스트레스임금작업환경BE3123직무동기스트레스임 금작업 환경(DV)496.233.344.192.121296-2014-.011R2 변화량(sr).2463.02920467.01483872.18732266.12224.7207.3289.0013**2205절편 - -.78753.081.19J158.0485.343.213.311530.95평균표준편차R-337교정된 R-314
* 5. 1a 는 비준화 회귀계수: 3 는 표준화 회귀계수
4.중다회귀분석의 결과표 및 보고서 작성 요령 119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은 각 독립변인들의 공유변량이 먼저 투입된 변인에 귀속되기 때문에 R' 변화량의 합은 언제나 전체 IR과 같아진다. 따라서 R의 변화량이 표준 중회귀분석의 경우와 다르게 표에 제시된다. 또한 변인의 순서를 부임단계에 따라 기록하여 단계별 투입변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적 회귀분석의 경우에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간은 방법으로 표를 제시하지만, 통게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변인은 표에 제시하지 않는다.
'다변량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중다회귀분석 (0) | 2021.10.09 |
---|---|
중다회귀분석의 유형과 해석 (0) | 2021.10.08 |
중다회귀분석의 기본 가정 (0) | 2021.10.07 |
4.중다회귀분석 (0) | 2021.10.06 |
3. 중다회귀분석 (0) | 2021.10.05 |